🖥️ 1. 쿠버네티스(Kubernetes)란 무엇인가?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관리 및 확장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입니다. 쿠버네티스는 Google에서 개발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로 시작되었고, 현재는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특히 대규모의 분산 시스템에서 뛰어난 확장성과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 덕분에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쿠버네티스의 핵심 개념
쿠버네티스를 이해하려면, 주요 개념 몇 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 Pod
-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작은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보통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의미합니다.
- 각 Pod는 고유 IP를 가지며, 같은 Pod 안의 컨테이너들은 네트워크와 스토리지를 공유합니다.
- Pod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컨테이너만 포함합니다.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논리적 단위로, 실제로 컨테이너는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런타임에 의해 실행됩니다.
- Pod 내부의 컨테이너들은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같은 IP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 Node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실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서버입니다. 노드는 물리적 서버일 수도 있고 가상 머신일 수도 있습니다.
- 각 Node는 여러 Pod를 포함할 수 있으며, Node가 여러 개 모여 클러스터를 이룹니다.
- Node에는 kubelet이라는 에이전트가 실행되어 쿠버네티스의 API 서버와 통신하며, 해당 Node에서 Pod를 실행하고 관리합니다.
🏢 Cluster
- 여러 Node가 모여 구성하는 하나의 큰 시스템입니다. 쿠버네티스가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의 확장, 자원 할당, 장애 복구 등을 담당합니다.
- 클러스터는 여러 Node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각 Node는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클러스터로 관리됩니다.
🔄 ReplicaSet
- 특정 Pod의 복제본 수를 지정하여 항상 원하는 개수를 유지하게 해주는 오브젝트입니다.
- 예를 들어, Pod 인스턴스를 3개로 설정하면, 한 인스턴스가 죽더라도 자동으로 새 인스턴스를 생성해 3개를 유지합니다.
🔄 Deployment
- Deployment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관리와 롤백을 지원해줍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다가 문제가 발생하면 손쉽게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 2. 쿠버네티스의 주요 기능과 특징
🌐 자동화된 배포와 복구
-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복구합니다. 이를 통해 서버 다운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Scalability)
-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Pod의 수를 늘려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용량이 적을 때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롤링 업데이트와 롤백
- 쿠버네티스는 버전 업데이트를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롤링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만약 업데이트 중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롤백할 수 있습니다.
🐳 3. 도커(Docker)와 쿠버네티스의 관계
🍱 Docker란?
Docker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도구입니다. 개발 환경에서부터 배포 환경까지 일관된 환경을 제공해주는 도구로, 컨테이너 이미지라는 패키지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 Docker와 Kubernetes의 관계
쿠버네티스와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한다는 점에서 상호보완적인 관계입니다.
- 도커: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들고 배포하는 도구
- 쿠버네티스: 여러 도커 컨테이너를 오케스트레이션하고 관리하는 플랫폼
즉, 도커가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면, 쿠버네티스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쿠버네티스는 도커 외에도 containerd나 CRI-O와 같은 다른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논리적 단위로, Docker를 포함한 다양한 컨테이너 런타임에 의해 실행됩니다.
🛠️ 4. 쿠버네티스 기본 구성 요소와 실습 예제
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위해 실제 예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예제에서는 간단한 Nginx 서버를 배포하는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Step 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
- 미니쿠베(Minikube)를 사용하여 로컬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inikube start
Step 2: Nginx Pod 생성
이제 nginx-pod.yaml
파일을 만들어서 Nginx 컨테이너를 실행해보겠습니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nginx-pod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latest
ports:
- containerPort: 80
파일을 만든 후 다음 명령어로 Pod를 생성합니다.
kubectl apply -f nginx-pod.yaml
Step 3: Pod 상태 확인
Pod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하려면 kubectl get pods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kubectl get pods
Step 4: Deployment 설정
이제 Deployment를 사용하여 Nginx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해 보겠습니다. nginx-deployment.yaml
파일을 작성합니다.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nginx-deployment
spec:
replicas: 3
selector:
matchLabels:
app: nginx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nginx
spec:
containers:
- name: nginx
image: nginx:latest
ports:
- containerPort: 80
작성한 파일을 배포합니다.
kubectl apply -f nginx-deployment.yaml
Step 5: 서비스 생성
외부에서 Nginx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Service를 설정합니다. nginx-service.yaml
파일을 작성합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nginx-service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 nginx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80
다음 명령어로 서비스를 생성합니다.
kubectl apply -f nginx-service.yaml
Step 6: 서비스 접근
마지막으로, 생성한 서비스의 NodePort를 통해 Nginx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minikube service nginx-service
🔍 5. 쿠버네티스의 장점과 한계
💪 장점
- 자동화된 인프라 관리: 스케일링, 배포, 장애 복구 등이 자동화되어 관리 부담이 줄어듭니다.
- 플랫폼 독립성: 어디서든 애플리케이션을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관리에 유리하여 유연한 확장이 가능합니다.
🚫 한계
- 복잡성: 초기 설정과 사용법이 다소 어렵습니다.
- 비용 문제: 대규모 환경에서는 관리와 자원 사용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여러 Node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관리합니다. 각 Node는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을 수 있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됩니다. 컨트롤 플레인은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하며, API 서버는 각 Node와 통신하여 Pod의 상태를 제어합니다. 각 Node의 kubelet은 API 서버와 상호작용하며 Pod를 실행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요약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자동화된 플랫폼입니다. Docker와 함께 사용되며, 복잡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Pod, Node, Cluster 같은 기본 개념을 통해 확장성과 복원성을 갖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kubectl
명령어와 YAML 파일을 통해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쿠버네티스는 여러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관리하고 확장하는 플랫폼으로, 도커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오케스트레이션하여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지원합니다.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Jenkins Docker 컨테이너에서 Docker를 사용해 Git 소스 배포하기 (2) | 2024.11.16 |
---|---|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서 SSH 설정하기 (10) | 2024.11.14 |
[Jenkins] Jenkins에서 GitHub 및 GitLab 인증 연동하기 (0) | 2024.11.09 |
[Jenkins] CI/CD 환경 구축하기 (8) | 2024.11.08 |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8) | 2024.11.07 |